본문 바로가기

창의성 높이는 육아법 : 아이와 함께하는 언어놀이

jinyjina 2020. 11. 30.

말 잘하는 아이들의 특징

말 잘하는 아이란 다른 사람의 이야기를 이해하고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제대로 된 언어로 표현할 줄 아는 아이입니다. 아이에게 흥미 있는 이야기를 들려주고 아이의 표현에 성의 있게 대답하고 칭찬해 주면 아이의 언어 표현력과 논리력을 키워줍니다. 

6세 정도가 되면 논리적으로 말을 하고 호기심도 강해져 질문이 부쩍 느는 시기입니다, 질문은 호기심의 발로이고 아이에게는 필요한 질문 일 수 있습니다. 유아들이 자꾸 물어보고 쓸데없는 질문을 하더라도 끝까지 성실하게 답변해 줍니다.

또한 상상력과 어휘력, 유머 감각이 발달해 나름대로 우스갯소리를 만들어 사용하곤 합니다. 우스갯소리는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은어나 비어들이 들어간 말과 아이다운 상상력이 묻어있는 말입니다. 어떤 우스갯소리를 하느냐에 따라 엄마의 대응이 달라져야 합니다. 은어나 비어들이 들어간 말은 바로 교정해 주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습관이 됩니다. 하지만 아이다운 상상력이 묻어 있는 말은 확장해 주면 좋습니다. 그 상상력을 소재 삼아 가족 간 대화를 나누어 봅니다. 

 

집에서 할 수 있는 대화법

1. 표현력 기르기

 몸짓, 표정보다 언어로 의사 표현하도록 유도합니다. 배고플 때 울기보다는 배고프다는 행동이나 말로 하도록 격려하면 좋습니다. 네, 아니오로 답할 수 있는 질문 보다. 구체적인 형태의 질문을 하면 표현력이 향상됩니다. 

     - 오늘 어린이집에서 무엇을 배웠니? 

     - 어린이집에서 점심에 무슨 반찬을 먹었니? 반찬의 이름을 잘 모른다면 천천히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 줍니다. 이럴 때 반찬을 묘사할 수 있도록 유도해 줍니다. 색깔, 맛, 냄새 등 오감을 사용해서 묘사할 수 있도록 합니다. 그러면 아이의 표현력이 풍부해 줍니다. 

 

   PLAY : 반복해서 책 읽을 읽어줍니다. 리듬이나 감정을 섞어 읽어주면 아이의 기억에 오래 남을 수 있습니다.

 

2. 이해력 키우기

부모의 말투를 부드럽게 하는 것이 좋은 영향을 줍니다. 아빠와의 대화법에 문제가 없는지 살펴보는 것도 좋습니다. 또한, 아이가 이해하기 쉽게 천천히 또박또박 말하는 것이 아이의 언어발달에 좋습니다. 

 

PLAY : 귓속말 전하기 게임

엄마가 아이의 귀에 짧은 문장를 이야기 한 다음 아빠에게 전달하는 게임을 진행해 봅니다. 바르게 전달하는 요령을 익히며 상대방의 말을 주의 깊게 듣는 훈련이 중요합니다. 

 

3. 어휘력 늘리기 : 아이가 부정확한 단어를 말하더라도 웃는 얼굴로 칭찬해 줍니다. 자꾸 지적하고 혼내면 아이는 주눅이 들어 말을 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그다음 정확한 단어 알려주면서 긍정적인 피드백을 주면 아이는 성장합니다. 

 

PLAY : 단어 알아맞히기 게임

정해진 시간 안에 적혀 있는 단어를 몸짓, 발짓, 손짓을 이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설명하도록 유도합니다. 단어를 정확히 설명할 수 있는 어휘 구사력과 언어에 대한 순발력을 키울 수 있습니다.

 

4. 뉴스앵커 따라하기

텔레비전에 나오는 뉴스 앵커를 따라 말하는 것은 아이들에게 말하기 훈련을 재미있게 해 줍니다. 

우선 아이를 바른 자세로 앉게 합니다. 좋아하는 앵커가 있다면 사진을 보여주고 따라 하게 합니다. 엄마는 간단한 뉴스 원고를 준비하고 읽어줍니다. 너무 어려운 내용 말고 쉽고 재미있는 내용으로 만듭니다. 아이가 텔레비전에 나오는 앵커처럼 자기만의 표정으로 뉴스를 읽도록 합니다. 아이가 말하는 모습을 찍어보고 같이 영상을 보면 아이가 더 흥미를 갖게 됩니다.

PLAY : 동시 읊어주기

동시는 사람의 감성을 자극하고 표현력과 어휘력을 길러지고 좋은 교재입니다. 글을 읽을 줄 아는 아이라면 직접 읽게 해 주면 더 좋습니다. 

 

5. 가족과 토론하기 

대화를 통한 토론은 말하기가 익숙해지도록 해주는 좋은 놀이입니다. 예를 들어, 바캉스 갈 때 무엇을 가지고 가야 할 것인가란 주제로 필요한 물건에 대해 이야기하는 시간을 갖아 봅니다. 필요한 것을 이야기했다면, 그 물건이 왜 필요한지, 왜 필요하지 않은지 각자의 입장에서 이야기하고 토론해 봅니다. 

 

PLAY : 만화영화를 함께 보면서 이야기하기

만화영화를 보면서 등장인물이 어떤 상황에서 무슨 말을 하는지 함께 이야기하기

주인공이 옳지 않은 행동을 했을 때 '저런 경우 00이라면 어떻게 말했을까?' 유도하기

이를 통해, 말이란 혼자만의 일방적인 이야기가 아니라 서로 주고받는 것임을 알게 합니다.

 

아이 질문에 대답하는 방법

1. 아이가 질문을 하면 아이의 눈높이에 맞춰 짧고 간단하게 답합니다. 그리고, 전문적인 용어로 이야기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하지만 초등학생 정도라면 어른들이 사용하는 어휘를 사용해서 궁금증을 유발하는 것도 좋습니다. 한번 추측해 보게 하고 부모와 함께 사전을 찾아보는 활동을 합니다. 지나치게 긴 답변은 좋지 않습니다. 아이들은 집중력이 짧기 때문에 간단하게 답변합니다. 

 

2. 가끔 엄마도 모르는 질문을 하면 아이와 함께 해답을 찾습니다. 이런 사실만으로도 호기심을 해소할 수 있습니다. 사전이나 책 혹은 인터넷을 함께 찾아보면 아이들이 더 신나 합니다. 아이와 함께 이런 활동을 하면 아이에게 놀이로 다가올 수 있습니다. 

 

3. 아이들이 자꾸 엉뚱한 질문을 하면 아이의 질문에 우선 성의와 관심을 보여 주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쓸데없는 질문이라고 혼내거나 무관심한 태도 보이면 절대 안 됩니다. 엉뚱한 질문은 창의력과 상상력의 근원입니다. 엄마가 더 엉뚱한 질문을 하면서 아이와 상상력을 키우는 것도 좋습니다. 

 

4. 아이가 은어나 비어가 들어간 말을 사용하면 단호하게 알려주어야 합니다. 이런 말은 흡입력이 있기 때문에 금세 입에 붙고 재미가 들려 계속하게 되니 단호하게 대응해야 합니다. 

 

결론

아이가 말을 잘하는 능력은 가정 내 소통에서 나오는 따뜻한 상호작용과 흥미로운 활동들을 통해 키워집니다. 아이의 언어 발달을 촉진하고 논리적 사고력을 갖추게 하는 데에는 부모님의 관심과 지속적인 노력이 필수입니다. 앞에서 언급한 대화법을 바탕으로 아이와 대화해 보면 좋습니다. 부모가 아이의 언어 발달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가이드하는 것은 아이의 성장과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함께하는 활동과 대화를 통해 가정에서 언어능력뿐만 아니라 감성적인 연결도 발달될 것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