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아이 잠재력 발휘하는 방법 : 자기 주도 학습의 힘

jinyjina 2023. 11. 13.

자기주도 학습이란?

자기 주도 학습이라고 하면 대부분 아이 혼자 공부하는 것으로 생각합니다. 하지만 이건 자율학습입니다. 자율학습과 자기주도 학습은 완전히 다릅니다. 자기주도학습은 목표를 설정하고, 목표 달성을 위한 계획을 수립한 뒤, 그걸 실행하고 나아가 평가를 통해 부족한 점을 보완하는 걸 말합니다. 이 모든 과정을 스스로 하는 게 자기주도학습입니다.

 

양육자가 도와주는 방법

이런 과정을 하는 것은 솔직히 성인도 힘듭니다. 아이들은 더 힘들겠죠. 그래서 목표 설정부터 도와주세요. 방학이라면, 이번 방학엔 어떤 공부를 얼마나 할지부터 정해 보는 겁니다. 수학을 공부해 보기로 했다면 다음 한 학기 문제집을 미리 풀어보자고 제안하는 겁니다. 5학년 2학기라면 6학년 1학기를 목표로 잡는 것입니다. 목표가 정해지면 한 달여 방학 동안 하루에 어느 정도 공부해야 하는지 계산이 나옵니다. 그걸 기준으로 계획을 세우는 겁니다. 그리고 매일 할 수 있도록 독려해 주세요. 

방학이 끝날 무렵 목표를 달성했는지, 실제로 공부의 효과는 얼마나 있었는지 평가를 해봐야 합니다. 진도는 다 나갔지만, 정작 해당 부분 평가에서 충분한 점수가 나오지 않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럴때는 공부 방법을 바꿔서 해보자고 제안하는 것도 필요합니다.

 

자기 주도 학습 전 필요한 마음가짐

1. 잘하고 싶고 잘해야 한다는 마음

첫째로 잘하고 싶다는 마음과 잘해야 한다는 마음이 아이에게 있어야 합니다. 그런 마음이 없다면 아이에게 동기부여를 해 주어야 합니다. 명확한 목표가 없다면 공부를 계속 하기가 어렵습니다.

어떤 꿈이 있고 그것을 이루려면 어떤 목표를 세워야 할 지 많은 고민을 해야 합니다. 또 무슨 책으로 어떤 강의를 이용할 것인지를 판단하는 능력도 키워야 합니다. 

 

2. 공부 전 계획을 짜야 한다는 마음

학습을 위한 출발점에서 가장 필요한 것은 수치적 목표와 이를 위한 계획 짜기입니다. 공부하고 싶을 때 계획을 짜는 게 아니라 계획을 짜야 공부하고 싶어져야 합니다. 계획은 일일, 주간, 연간 계획의 4종류가 있습니다.

 

- 일일 계획

공부가 잘되는 시간에 취약과목을 공부해야 합니다. 과목과 교재, 그리고 분량단위로 계획을 짜되, 문제풀이 공부 시에는 문제당 시간을 시험때와 같이 설정하고 문제 개수에 따라 공부시간을 결정해야 합니다.

중학생은 학기 중 하루 3시간, 고등학생은 하루 4~5시간 이라는 최소 자기 공부시간을 확보해야 합니다. 현실적으로 학원에 많이 다니는 학생들의 공부시간이 하루 2시간 미만임을 감안할 때 학원 강의 수강으로 소진하는 시간을 없애야만 제대로 된 일일계획을 짤 수 있습니다. 듣는 공부가 아닌 스스로 하는 능동 공부가 되어야 합니다.

 

- 주간 계획

6일치 시간표를 짭니다. 7일 치 계획을 짜면 마음은 뿌듯하겠지만 실천은 불가능합니다. 그 누구도 여유분 없이 계획을 짜면 실천이 어려워집니다. 일요일에는 하루 정해진 분량을 다했을 경우 쉬고, 못했을 경우 보충하는 시간으로 삼아야 합니다. 6일 계획은 보통 시험 준비기간이 아닌 때를 가정할 때 '영수국/영수사/영수과/영수국/영수사/영수과'의 과목을 배치를 하는 것이 고민을 더는 지름길입니다. 

 

- 월간 계획

주로 시험 대비 기간을 위해 짭니다. 시험 전 4주차는 평소 영어, 수학위주의 공부패턴을 유지하되, 시험기간에 이 둘의 과목에 많은 시간이 소모되지 않도록 실력을 제대로 다져야 합니다. 3주 차에는 국영수 위주로 시험 대비모드로 돌입합니다.

교과서와 자습서, 문제집, 학교 수업내용 등을 위주로 공부한다는 의미 입니다. 2주 차에는 사회와 과학 계열 과목을 위주로 공부하되 국여수 과목에 부족한 부분이 있다면 보충하고 다했다면 복습을 병행합니다. 1주 차에는 두 부분으로 나뉩니다. 초기 3일은 그동안 못한 부분을 최종적으로 보충하는 기간입니다. 나머지 4일은 시험 보는 과목들의 순서와 역순으로 공부하면서 마무리합니다. 시험 기간 동안에는 끝까지 최종 반복을 위한 벼락치기는 필수입니다. 

 

-연간계획

주로 장기간에 걸쳐 이번 학기 또는 올해에 어떤 것을 주로 공부해야 하는지를 판단하는 것입니다. 선행학습을 해야 하는 지 후행 학습을 해야 하는지 영어 문법은 언제까지 마무리해야 하는지 등 6개월에서 1년에 걸친 계획도 함께 있어야만 나중에 방향을 잃지 않고 시행착오를 막을 수 있습니다.

 

 

 

댓글